국립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대학원소개
인사말
교육목표
연혁
행정업무안내
규정 및 요람
입학안내
학과소개
인문사회계열
자연계열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학과간협동과정
학연산협동과정
교과과정
인문사회계열
국어국문학과
한문학과
민속학과
사학과
국민윤리학과
동양철학과
영어영문학과
법학과
행정학과
경제학과
무역학과
경영학과
교육공학과
자연계열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물학과
지구환경과학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생활복지학과
생약자원학과
식물의학과
원예육종학과
식품생명공학과
공학계열
정밀기계공학과
창의소프트웨어학과
재료공학과
기계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컴퓨터공학과
멀티미디어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건축공학과
예체능계열
체육학과
음악과
미술학과
학과간협동과정
식품영양학·식품생명공학과
백신공학과
바이오ICT융합공학과
산업시스템공학과
지식재산융합학과
지진방재공학과
화학신소재융합학과
학연산협동과정
고전국역학과
산림자원융합학과
생명자원과학부
신소재공학과
기계공학과
학사안내
학사주요내용
수강신청 및 학점이수
학석사연계과정
수료 후 등록생
학사일정
학위논문
졸업자격시험
학위청구논문
논문제출 및 심사
논문작성
커뮤니티
공지사항
행정서식
포토갤러리
안동대학교
입학안내
HOME
검색
대학원소개
인사말
교육목표
연혁
행정업무안내
규정 및 요람
입학안내
학과소개
인문사회계열
자연계열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학과간협동과정
학연산협동과정
교과과정
인문사회계열
국어국문학과
한문학과
민속학과
사학과
국민윤리학과
동양철학과
영어영문학과
법학과
행정학과
경제학과
무역학과
경영학과
교육공학과
자연계열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물학과
지구환경과학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생활복지학과
생약자원학과
식물의학과
원예육종학과
식품생명공학과
공학계열
정밀기계공학과
창의소프트웨어학과
재료공학과
기계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컴퓨터공학과
멀티미디어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건축공학과
예체능계열
체육학과
음악과
미술학과
학과간협동과정
식품영양학·식품생명공학과
백신공학과
바이오ICT융합공학과
산업시스템공학과
지식재산융합학과
지진방재공학과
화학신소재융합학과
학연산협동과정
고전국역학과
산림자원융합학과
생명자원과학부
신소재공학과
기계공학과
학사안내
학사주요내용
수강신청 및 학점이수
학석사연계과정
수료 후 등록생
학사일정
학위논문
졸업자격시험
학위청구논문
논문제출 및 심사
논문작성
커뮤니티
공지사항
행정서식
포토갤러리
공지사항
행정서식
포토갤러리
교과과정
교과과정
대학원소개
입학안내
학과소개
교과과정
학사안내
학위논문
커뮤니티
부가정보
자연계열
인문사회계열
자연계열
공학계열
예체능계열
학과간협동과정
학연산협동과정
생활복지학과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물학과
지구환경과학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생활복지학과
생약자원학과
식물의학과
원예육종학과
식품생명공학과
페이스북
밴드
블로그
카카오
스토리
http://graduation.andong.ac.kr/module/subject/list.php?mid=/curriculum/dnature/dwelfare&sbcode=graduate&sbsite=welfare
URL복사
내용 이미지파일로 다운로드
내용만 열어보기
교과과정
인문사회계열
국어국문학과
한문학과
민속학과
사학과
국민윤리학과
동양철학과
영어영문학과
법학과
행정학과
경제학과
무역학과
경영학과
교육공학과
자연계열
수학과
물리학과
화학과
생물학과
지구환경과학과
의류학과
식품영양학과
생활복지학과
생약자원학과
식물의학과
원예육종학과
식품생명공학과
공학계열
정밀기계공학과
창의소프트웨어학과
재료공학과
기계공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기계설계공학과
전자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컴퓨터공학과
멀티미디어공학과
토목·환경공학과
건축공학과
예체능계열
체육학과
음악과
미술학과
학과간협동과정
식품영양학·식품생명공학과
백신공학과
바이오ICT융합공학과
산업시스템공학과
지식재산융합학과
지진방재공학과
화학신소재융합학과
학연산협동과정
고전국역학과
산림자원융합학과
생명자원과학부
신소재공학과
기계공학과
교과과정 > 자연계열 > 생활복지학과
생활복지학과
석사
과정
이수구분
교과목
1학기
2학기
학점
강의
실습
학점
강의
실습
석사
전공
놀이치료(GGC033)
3
3
0
석사
전공
발달정신병리(GGC008)
3
3
0
석사
전공
발달진단 및 심리평가(GGC034)
3
3
0
석사
전공
부모심리상담(GGC009)
3
3
0
석사
전공
상담이론 및 실제(GGC007)
3
3
0
석사
전공
장애아동의 이해(GGC035)
3
3
0
석사
공통
고급 세미나(GGC003)
3
3
0
석사
공통
고급 연구방법론(GGC001)
3
3
0
석사
공통
고급 통계(GGC002)
3
3
0
석사
공통
연구윤리Ⅰ(GGC038)
0
0
0
교육과정 상세내용
고급 세미나(GGC003)
생활환경복지학의 제 분야에서 사회적, 학문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주제를 깊이 있게 연구 하는 교과목으로서 이를 통하여 조사·분석능력, 논리적인 사고능력, 논문작성 및 논문발표 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한다.
고급 연구방법론(GGC001)
각 전공별 연구를 위해서 바탕이 되는 다양한 연구설계와 방안에 대한 기초지식을 익히고 선행연구들을 통해 다양하게 적용할 연구방법을 익히며, 논문작성에 관한 요령도 배운다
고급 통계(GGC002)
학위 논문 및 연구에 필요한 추리통계분석방법을 다루며 자료 특성에 따른 통계분석방법의 차이를 고찰한다.
놀이치료(GGC033)
놀이치료의 기본 개념과 다양한 이론들을 이해하고, 놀이치료 치료과정과 치료기법 및 사례를 통해 놀이치료에 대한 기본 지식과 놀이치료자의 역할에 대해 학습한다.
발달정신병리(GGC008)
아동 및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심리적 갈등의 원인을 발달적 접근에서 고찰하고 문제에 따른 예방 및 치료법을 모색한다.
발달진단 및 심리평가(GGC034)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는 아동 발달진단 및 심리평가와 측정방법들을 학습한다. 교과를 통해 학생들은 면접, 행동관찰, 심리검사라는 심리평가 방법들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아동의 발달수준에 대해 인지, 정서, 사회성, 성격, 신경심리 기능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습득한다. 또한 이 과정을 실제로 실시하고, 채점하며, 해석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히고, 진단적 평가를 위한 평가 자료들을 통합하는 능력을 발달시켜 나간다.
부모심리상담(GGC009)
부모상담의 진행과정과 부모의 역할, 훈육 태도 그리고 문제행동의 예방 및 지도 등의 주제를 학습하고 아동의 문제와 특성에 맞는 부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담이론 및 실제(GGC007)
다양한 상담의 정의와 목표아래 상담과정을 좀 더 효율적으로 이끌기 위해 정신분석이론, 행동주의이행동주의이론, 내담자 중심이론, 게스탈트 이론 등 각 학과의 여러 학자들의 임상경험과 연구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실제 사례들을 통해 상담의 기본 과정과 기술들을 경험한다.
연구윤리Ⅰ(GGC038)
장애아동의 이해(GGC035)
장애아동을 지원하는 관련법, 장애아동의 정의 및 특성, 진단방법, 중제방법, 교수방법, 및 전략, 지원환경 등에 대해 학습함으로써 관련서비스를 제공할 때 좀 더 효과적인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